오는 2월 4일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인 '입춘'이다. (24절기:우리나라 고유의 날짜 계산법으로, 농사를 위해 1년을 24개로 나눈 것 ) 이 날은 1년 동안 농사가 잘 되고 좋은 복이 가득하길 기원하는 날이다. 〈입춘〉 에는 동풍이 불고, 얼음이 풀리며, 겨울 잠을 자던 벌레들이 깨어난다고 한다. 가정에서는 '입춘축(봄이 왔다는 것을 축하하기 위한 글이 담긴 종이)'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인다. 입춘축은 달리 △춘축 △입춘△서입춘방△춘방이라고도 한다. 입춘이 드는 시각에 맞추어 붙이면 좋다고 해서, 밤에 붙이기도 한다. 상중에 있는 집에서는 붙이지 않는다. 입춘축을 쓰는 종이는 글자 수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가로 15cm/세로 70cm 내외의 한지 두 장에 쓴다. 이 외에도 한지를 마름모꼴로 세워 '龍(용)'자와 '虎(호)'자를 크게 써서 대문에 붙이기도 한다. 입춘에는 보리의 뿌리를 뽑아, 농사의 좋지 않은 기운을 가려보는 농사점을 행하기도 한다. 또,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는데,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오는 곡식이 그 해 풍작(풍년이 된 농사)이 된다는 의미를 갖는다. 입춘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은 '명태 순대'와 '오신채'다
지난 16일(금), 광지원초등학교의 모든 방과후 수업이 종료되었다. 2022년 4학년의 방과후 수업에는 △광지원농악 △로봇과학 △축구교실 △코딩이 있었다. 본 기자는 4학년 친구들에게 마지막 방과후 수업 소감에 대해서 물어보았다. Q. 방과후 수업 마지막인데, 기분이 어떤가요? A. 홍승현 학생 : "방과후 수업을 더 이상 못하게 되어서 아쉽고 슬프다." Q. 4학년 방과후 수업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수업은 무엇인가요? A. 김규민 학생 : "농악이 가장 인상 깊었던 것같다. 왜냐하면 악기를 다루고 상모를 돌리면서, 옛조상들의 전통 음악에 흥미를 느낄 수 있었다." Q. 4학년 방과후 수업 중, 가장 힘들었던 수업은 무엇인가요? A. 정유진 학생 : "가장 힘들었던 수업은 '농악'이다. 상모를 쓰는 것도 힘들었고, 악기도 무거웠다." Q. 5학년에, 또 하고 싶은 방과후 수업이 있나요? A. 현지은 학생 : "5학년이 되면, 축구교실을 하고 싶다. 처음에는 축구하는 방법과 룰을 몰랐는데... 하다보니 방법과 룰을 알게 되어서, 지금은 재미있게 하고 있다. 더 해보고 싶은 흥미가 생겼다." Q. 방과후 수업 선생님들께 하고 싶은 말을 해주세요! A. 장윤슬…
학교에서 종이로 종이 눈송이를 만들었다. 종이 눈송이는 만드는 것도 재미있었고, 만들어진 종이 눈송이도 예뻤다. 돌봄 교실에 가서도 더 만들고 싶어서 친구들과 또 만들었다. 선생님이 주신것처럼 만들어 보기도 하고 내가 생각해서 만들기도 하였다. 4개를 만들었는데 3번째로 만든 것이 제일 예쁜 것 같다. 집에 가서 동생이랑 또 만들어야 겠다. 교실에 종이 눈송이를 붙여 놓으니 교실에도 눈이 내린 것 같다.
<2022년 광지원초 인터넷신문부> 활동이 오는 21일을 끝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신문부는 학교를 대표해서, 학교에서 일어난 일을 기사를 쓰는 부서다. 일주일에 1번씩 기사를 작성하고, 광지원초 인터넷 신문에 올리는 일을 한다. 기사는 육하원칙(언제,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맞춰, 기사준비 ▷ 기사작성 ▷ 1차수정 ▷ 2차수정 ▷ 맞춤법검사 ▷ 첨삭 ▷ 최종수정 ▷ 출판된다. 본 기자는 지난 일년 동안 함께 한 동료 기자의 소감기사를 마지막 기사로 정하고 함께한 '김영초' 기자에게 인터뷰를 요청했다. Q. 기자를 시작하게 된 동기는 무었인가요? A. " 학교에 오래도록 남을 기사에 대해 알아보고 싶었고, 다른 학교에서 쉽게 보지 못했던 활동이어서 도전해 보고 싶었다." Q. 첫 기사를 작성하면서 든 생각은 무었인가요? A. "생각했던 것보다는 기사작성에 육하원칙(언제,어디서,누가,무었을,어떻게,왜)적용하는 것이 힘들었지만 ,나 자신이 이런 일을 한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꼈다." Q. 기자생활을 하면서, 느낀 점과 보람찼던 일은 무었인가요? A. " 내 기사가 학교 인터넷 신문에 처음 출판되었을 때가 가장 보찼었다. 처음에는 기사에
지난봄에 학교에서 전교생이 모여 운동회를 했다. △이어달리기 △공 던지기 △줄다리기 △박 터트리기 △달리기 △판 뒤집기 경기를 했다. 그중에서 내가 가장 재미있었던 경기는 이어달리기였다. 왜냐하면 내가 달리는 것을 무척 좋아하기 때문이다. 이어달리기에서 내가 1등을 했다. 기분이 하늘을 나는 것처럼 좋았다. 그날은 내가 광지원 초등학교생활 중에 가장 재미있었던 날이었다.
지난여름에 하얏트호텔에서 즐거운 하루를 보낸 적이 있다. 거기는 사람들이 어마어마하게 많았다. 맛있는 과자와 음료수 등, 맛있는 음식들도 많이 있었다. 수영장도 있는데 물이 내 목까지 찼다. 엄청 깊은 곳도 있었다. 밤에 본 수영장이 멋지고 고급스러웠다. 호텔방은 굉장히 멋있고 좋았다. 편의점에 가는 길이 이쁘고 불이 많아 마치 나를 반갑게 맞이하는 것 같았다. 나는 그 길을 걸으면서 '참 멋진 건물이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룻밤을 자고 다음날 아침에 집에 올 때 아쉬웠다. '그래도 집에는 가야지~~'
지난가을에 아빠, 엄마와 캠핑장에 갔다 온 적이 있다. 그곳에 이모들도 왔다. 캠핑장에서 △비행기도 날리고 △축구도 했다. △달콤한 아이스크림도 먹었다. 캠핑장 안에 트랩과 에어바운스도 있었다. 밤에 잠을 잘 때 비가 와서 물이 들어올까 봐 걱정했는데 다행히 물이 안 들어왔다. 텐트 안이 추웠는데 엄마가 난로를 켜서 따뜻했다. 다음에 우리 가족들과 또 가고 싶다. 꼭 가고 싶다!
지난봄에 학교에서 우리 반 친구들과 승마장에 갔었다. 승마장에서 말을 탔다. 말을 타기 전 처음엔 무서워 겁이 났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니 말 타는 일이 조금씩 재미있었다.
지난여름에 학교에서 선생님, 친구들과 학교 근처에 있는 '물놀이장'에 갔다. 물놀이장 가는 길이 가까워서 학교에서 걸어서 갔다. 수영도 하고 잠수도 했다. 미끄럼틀을 탔는데 꼬불꼬불한 미끄럼틀도 탔다. 학교로 다시 돌아갈 때 진짜 아쉬웠다. 그래서 "선생님, 다음에 또 가고 싶어요."라고 말했다.
지난여름에 물놀이장에서 친구들과 신나게 놀았던 적이 있었다. 물 대포 쏘는 것이 재미있었다. 특히 슬라이드가 재미있었다. 물놀이가 무척 재미있었다. 재미있는 물놀이 시간이 금방 끝나서 아쉬웠다. 다음에 또 가고 싶다.